본문 바로가기

블루마블 문헌보관소/시사경제용어 사전

<시사경제용어> P-CBO(Primary CBO)



 

CBO(Collateralized Bond Obligations)는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하여 발행되는 자산담보부증권(ABS)을 말하는데, 유통되고 있는 기존 채권을 기초로 발행되는 CBO를 Secondary CBO(유통시장 CBO), 신규 발행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발행하는 CBO를 Primary CBO(발행시장 CBO)라고 한다.

P-CBO는 신용도가 낮아 채권시장에서 회사채를 직접 발행하기 어려운 기업의 회사채 차환 발행 또는 신규 발행을 지원하기 위해 2000년 도입됐다.

정부는 2008년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중소기업의 자금난을 덜어주기 위해 신용보증기금을 통해 P-CBO 발행을 1조원으로 확대하고, 2009년에도 2조원 발행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발행구조중소기업이나 중견기업이 발행할 채권(회사채 또는 CP)을 증권사 등이 먼저 인수하여 유동화전문회사(SPC)에 매각한 후 SPC가 이를 기초로 CBO를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한다.

이때 후순위채는 회사채 발행기업에 재매각하고, 선순위채는 신용보증기금의 신용보증(은행의 SPC에 대한 신용공여)을 통해 최우량등급(AAA)으로 상향시켜 자금시장에 매각하게 된다.



기대효과 기업이 자금조달을 위해 신규로 발행하는 B~BBB 등급 회사채를 기초로 발행되므로, 정크본드(Junk bond) 발행이 활성화됨에 따라 중소ㆍ중견기업들의 자금조달이 용이해 진고 장기자금 조달이 가능해 진다. 투자자들로선 투자할 수 있는 대상상품이 늘어나는 효과도 있다.


※ 관련기사

  ☞ 산업은행, 中企 대상 1조원 P-CBO발행(09.4.9)

  ☞ 채안펀드용 P-CBO 1조원 발행…PF ABCP 포함(09.1.28)



이 정보가 유익하셨다면 <몬이의 블루마블>을 구독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