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루마블 문헌보관소/시사경제용어 사전

<시사경제용어> 마이스(MICE) 산업


마이스(MICE) 산업
 

회의(Meeting)·포상관광(Incentives)·컨벤션(Convention)·전시회(Exhibition)의 머리글자를 딴 용어로, 국가적 차원의 종합서비스산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폭넓게 정의한 전시·컨벤션 산업을 말한다. 2012년 여수 세계엑스포 같은 초대형 박람회를 비롯, 국가 정상회의, 각종 국제회의, 상품·지식·정보 등의 교류 모임, 각종 이벤트, 전시회, 포상여행 등을 일컫는다.

이는 좁은 의미에서 국제회의 자체를 뜻하는 ‘컨벤션’이 회의, 인센티브 관광, 각종 전시박람회와 이벤트 등 복합적인 산업의 의미로 해석되면서 생겨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수많은 사람들이 모이고 수일씩 체류하는 까닭에 MICE 관련 방문객들은 규모도 크고 1인당 소비도 일반 관광객보다 월등히 높아 관광수익뿐 아니라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크다. 게다가 MICE 관광객들은 각국에서 사회적으로도 왕성하게 활동하는 계층이어서 도시홍보·마케팅 유발 효과가 커, 세계 주요 도시들은 MICE 산업 육성을 불황 극복의 열쇠로 삼고 있다.


해외 사례 - 싱가포르 국제협회연합(UIA) 기준 국제회의를 한 해 465건(2007년 기준)이나 유치해 세계 도시 중 1위를 달리고 있는 싱가포르는 MICE산업이 발달한 나라다.

한 해 1000만명에 이르는 싱가포르 방문 관광객 중 25%는 MICE와 관련돼 있고, 이들이 싱가포르에서 쓰는 돈은 매년 30억 싱가포르달러(2조9400억원)에 이른다(조선 09.2.24).

싱가포르는 국제회의 유치뿐만 아니라 포상관광(Incentives) 분야까지 선점(先占)하기 위해 최대 3만5000명을 수용하는 센토사 리조트, 4만명 이상 들일 수 있는 마리나 베이 샌즈 등 대규모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국내 동향 우리 정부는 2009년 1월 신성장동력 산업 17개 부문 중 하나로 선정했다.

대전광역시는 2009년 3월 ‘마이스(MICE) 산업도시, 대전’ 선포식을 열고 대전을 전시·컨벤션과 관광 등을 융합한 마이스 산업을 시 전략산업으로 육성한다고 선포했다.

제주도도 2009년 4월  ‘리조트 기반형 MICE산업 선진화 전략’을 제주광역권 선도산업인 관광레저산업 프로젝트로 선정, 제주를 ‘동북아 최고의 리조트형 MICE거점도시’로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관련기사

  ☞ 제주 MICE산업 육성 추진 (09.4.21)

  ☞ [전시·컨벤션 미래 성장동력이다] ③ 컨버전스가 미래의 길 (08.4.18)



이 정보가 유익하셨다면 <몬이의 블루마블>을 구독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