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는 모자랄 뿐이고.... 경제는 어려워질 뿐이고... 그런데 남을 도와준다고? 예예 맞습니다. 맞고요. ODA라고 그런게 있습니다.
ODA가 뭐지?
ODA란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의 약자로 말 그대로 공적개발원조입니다. 여기서 개발이란 단어에 주목을 해야합니다. 선진국간에 이루어지는 협력이 아닌, 선진국과 개발도상국간에 이루어지는 협력이죠. 좁게는 단순한 차관의 의미에서 넓게는 공공, 민간부문을 포함한 기술, 자금, 산업투자의 원조 까지 의미합니다.
ODA의 형태는 크게 양자간 원조와 다자간 원조로 나누어 집니다. 양자간 원조는 다시 무상원조와 유상원조로 나뉘어지죠. 무상원조는 말 그대로 아무런 대가없이 다양한 형태로 지원을 하는 것입니다. 쓰촨성 대지진시 전세계에서 보낸 구호물자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유상원조는 원금을 상환하되, 민간자금보단 유리한 조건으로 자금을 지원해주는 것입니다.
<ODA의 형태별 분류>
우리나라의 ODA
우리나라는 원조수원과 원조공여를 모두 가지고 있는 나라입니다. 특히 원조수원의 경우 우리나라 경제발전을 이룩하는데 큰 역할을 했죠. 우리나라가 찢어지게 가난한 시절, 지금의 소말리아와 같은 상황에 있을 때부터 경제발전을 이루기까지 국제사회로부터 127억 76백만불 상당의 원조를 받았습니다. 1959년까지 무상원조를 받다가 1957년부터 유상원조를 받게 됩니다. 우리나라의 원조수원 역사는 1995년 세계은행 차관을 종결로 그 끝을 맺게 됩니다. 본격적인 원조공여 시대를 맞게 되는 거죠.
우리나라의 원조공여규모는 경제가 성장할수록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원조공여는 1991년 1.1억달러에 불과하던 규모가 2007년에는 7억달러 규모로 급격히 늘었습니다. 하지만 국민소득대비 공여규모는 0.07%로 선진국의 0.28%에 비하면 아직은 미약한 수준입니다.
우리경제도 어려운데 왜 도와주는거지?
우리나라 경제가 예전에 비해 규모도 커지고 선진국대열에도 합류했으나 아직까진 대외의존도가 높고 여러 가지로 불안한 요인들이 많습니다. 작년 서브프라임사태로 인한 우리경제 악화도 아직 호전되지 않은 상태이구요. 그렇다면 경제적 제약에도 불구하고 개발도상국들을 지원하는 이유가 뭘까요?
이 정보가 유익하셨다면 <몬이의 블루마블>을 구독해 주세요^^
'블루마블 경제이야기 > 환경을 살리는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대강 살리기②> 1000일후 대한민국, 과연 어떻게 달라졌을까? (0) | 2009.06.15 |
---|---|
<4대강 살리기③>낙동강,금강,영산강도 한강처럼 되살린다 (0) | 2009.06.15 |
뉴욕 길거리에서 주운 쓰레기, 돈 될까? (5) | 2009.06.12 |
전 국민이 돈벼락을 맞는다면 과연 무슨 일이? (4) | 2009.06.10 |
<험난한 취업관문기#1> 글로벌 취업, 쉽게 하는 방법 (4) | 2009.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