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전에 한국은행이 금리를 동결하면서 경제연구기관들이 일제히 “과잉유동성”을 경고 하고 나선 적이 있었습니다. 도대체 과잉유동성이 무엇인데 이토록 무서워하고 있는 걸까요? 과잉유동성은 한마디로 시중에 돈이 많이 풀렸다는 말입니다. “시중에 돈이 많으면 좋은게 아닌가요?” 하고 의문을 던질 수 있겠죠? 하지만 이건 제 이야기를 들어보면 달라질 겁니다.
흔히들 돈벼락을 맞고 싶다고 합니다. 물론 혼자 맞으면 혼자만 부자가 되지만 전국민이 돈벼락을 맞으면 다같이 ‘돈만 많은 부자’가 되는 것이죠. 하지만 재화라는건 ‘희소성’이라는 성격이 있기 때문에 모두 부자가 된다면 가격이 급격하게 올라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지금 우리나라가 초인플레이션과 같은 상황이 발생될 확률은 거의 없습니다. 물론 전쟁과 같은 상황이 발생되면 모르겠지만 절대 그런 일이 있어서는 안되겠지요.
글 : 기획재정부 대학생기자단 The Mosfers 2기 유지환
이 정보가 유익하셨다면 <몬이의 블루마블>을 구독해 주세요^^
'블루마블 경제이야기 > 환경을 살리는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 경제를 ODA(?)하는 이유 (2) | 2009.06.12 |
---|---|
뉴욕 길거리에서 주운 쓰레기, 돈 될까? (5) | 2009.06.12 |
<험난한 취업관문기#1> 글로벌 취업, 쉽게 하는 방법 (4) | 2009.06.08 |
야구 하나로 8천억 벌었다 (6) | 2009.06.02 |
신종플루, 세계경제에 끼친 손해는 얼마? (1) | 2009.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