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근로 프로젝트는 정부가 1조7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저소득층 실업자, 휴·폐업 자영업자, 여성 가장 등 25만명에게 6개월간 한시적으로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전국 246개 지방자치단체는 5월 11일부터 월 소득이 최저 생계비의 120% 이하이고 재산이 1억3500만원 이하인 만 18세 이상의 가구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희망근로 참가신청을 받는다. 정부에서 배정받은 인원보다 신청자가 많으면 각 지자체는 건강보험료 월 납부액, 재산, 가구주 여성가장 청년실업자 여부 등 행정안전부의 ‘선발기준 점수표’에 따라 점수를 매겨 대상자를 선발한다.
이들에게 월 83만원(교통비 등 하루 3000원 별도) 정도의 임금이 지급되며 임금의 30~50%는 영세자영업자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전통시장뿐만 아니라 슈퍼, 치킨집, 세탁소 등에서도 쓸 수 있는 상품권 등으로 제공된다. 1000원, 5000원, 1만원권 등 3종으로 발행될 상품권 지급 비율은 지자체장이 결정하고, 유통기한은 3개월이다.
또 실업자를 대상으로 했던 공공근로와는 달리 희망근로 프로젝트는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취약계층의 생계지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기초생활수급자와 실업급여 수급자, 공공근로사업에 3번이상 참가한 사람, 기타 정부지원사업에 참가한 사람등은 지원할 수 없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급여의 일부를 소비쿠폰으로 지급하는 것도 공공근로와는 다른 점이다.
※ 관련기사
|
'블루마블 문헌보관소 > 시사경제용어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사경제용어> 패스트트랙(Fast Track) (0) | 2009.06.18 |
---|---|
<시사경제용어> 환승론 (0) | 2009.06.18 |
<시사경제용어> 한국금융투자협회(KOFIA) (0) | 2009.06.18 |
<시사경제용어> 할당관세 (1) | 2009.06.18 |
<시사경제용어> 환매조건부채권(RP) (0) | 2009.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