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장학사업을 통합 운영하고 학자금 대출과 보증 업무를 담당하는 우리나라 최초의 장학사업 전담 기구다. 한국학술진흥재단, 학국과학재단,한국주택융공사 등 각 기관에 분산돼 있는 장학 및 학자금 사업을 한 데 묶어 지원창구를 단일화했다.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 공약에 따라 2008년 5월 맞춤형 국가장학제도 구축 기본방안이 수립됐고, 2009년 1월 한국장학재단 설립 등에 관한 법률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5월 한국장학재단이 설립됐다. 초대 이사장은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이경숙 전 숙명여대 총장이다.
최근 정부는 서민대책의 일환으로 정부 보증 학자금 대출을 2009년 2학기부터 은행 통한 간접대출에서 한국장학재단을 통한 직접대출로 전환하고, 대출금리를 1~1.5%포인트 낮추기로 했다.
<한국장학재단의 ‘학자금 SOS’ 개요>
|
2009년 6월 기준 한국장학재단의 사업내용. 2009년 2학기부턴 학자금 대출이 15개 시중은행을 통한 간접대출에서 한국장학재단을 통한 직접대출로 바뀌게 된다.
▮ 학재금 대출
▮ 장학금 지원
|
2009년 2학기부터 한국장학재단에서 장학채권을 발행, 직접 재원을 조달하여 학자금 대출 금리가 1~1.5%포인트 인하된다. 2009년 추경예산을 통해 한국장학재단 출연금으로 1300억원을 출자하기로 했기 때문에, 한국장학재단은 자본금의 10배 이내로 채권 발행이 가능하다.
또 2009년 2학기부터 2년간 한시적로 무이자 학자금 대출 대상이 소득2분위에서 3분위까지 확대된다.
※ 관련 기사
☞ 한국장학재단, 21일부터 학자금 직접 대출(09.7.3) ☞ 소 팔아 대학 보내시게요? ‘한국장학재단’ 문 두드려 보세요(09.5.28) ☞ 한국장학재단 공식 출범… 국가 단위 학자금 대출 통합(09.5.6) ------------------------------------------------------ ※ 관련 자료
|
'블루마블 문헌보관소 > 시사경제용어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사경제용어> 녹색인증제 (0) | 2009.07.13 |
---|---|
【공지】 시사경제용어 사전 사용방법 (1) | 2009.07.09 |
<시사경제용어> 동산담보제도 (0) | 2009.07.09 |
<시사경제용어> 설비투자펀드 (0) | 2009.07.09 |
<시사경제용어> 탄소배출권 거래소 (0) | 2009.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