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루마블 문헌보관소/시사경제용어 사전

<시사경제용어> 주택임대차보호법

 

세입자들의 집을 빌리는데 지불한 임차보증금을 민법상의 특별법으로 보호하는 제도. 경제적 약자인 임차인이 민법으로 보호받기 어려운 권리를 보호해줌으로써 국민 주거생활의 안정을 보장하기 위해 도입됐다.

주택임대차보호법이 있기 전 임차보증금은 단순한 차용증 수준이었기 때문에 임차한 주택이 경매로 매각되는 경우 보증금을 보호받기 어려웠다. 그러나 주택임대차보호법이 시작된 이후에는 근저당, 가압류, 압류 등 다른 권리가 없는 주택에 전입신고를 하고 확정일자를 받아 입주하면 집이 경매에 넘어가도 보증금을 보호받을 수 있다.

※ 관련기사

  ☞ 미분양 아파트 전세계약 '주의'(10.03.24)

  ☞ 주택임대차보호법은 주거권을 지키기 위한 필수 상식(09.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