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금융기관의 예금총액에 대한 현금 준비 비율. 각 금융기관은 언제든지 예금자의 지급요구에 응할 수 있도록 예금총액의 일정 부분을 한국은행에 예치해야 한다.
지급준비율 제도는 본래 고객에게 지급할 돈을 준비하는, 고객 보호 차원에서 도입됐지만 금융정책의 주요 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중앙은행이 지급준비율을 변동시킴으로써 시중의 자금 유동성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지급준비율을 높이면 중앙은행에 적립해야 할 돈이 많아져 시중 자금이 줄어든다. 따라서 그만큼 돈을 빌리기 어려워지고 자연스럽게 금리인상 효과가 생긴다. 지급준비율을 낮추면 그 반대 현상이 벌어진다.
※ 관련기사
|
'블루마블 문헌보관소 > 시사경제용어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사경제용어> 위례신도시 (0) | 2010.03.24 |
---|---|
<시사경제용어> 노란우산공제 (1) | 2010.03.24 |
<시사경제용어> 승수효과 (1) | 2010.03.22 |
<시사경제용어> 블록딜(Block Deal) (0) | 2010.03.22 |
<시사경제용어> 콘탱고(contango) (0) | 2010.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