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루마블 문헌보관소/시사경제용어 사전

<시사경제용어> 지급준비율


 

금융기관의 예금총액에 대한 현금 준비 비율. 각 금융기관은 언제든지 예금자의 지급요구에 응할 수 있도록 예금총액의 일정 부분을 한국은행에 예치해야 한다.

지급준비율 제도는 본래 고객에게 지급할 돈을 준비하는, 고객 보호 차원에서 도입됐지만 금융정책의 주요 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중앙은행이 지급준비율을 변동시킴으로써 시중의 자금 유동성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지급준비율을 높이면 중앙은행에 적립해야 할 돈이 많아져 시중 자금이 줄어든다. 따라서 그만큼 돈을 빌리기 어려워지고 자연스럽게 금리인상 효과가 생긴다. 지급준비율을 낮추면 그 반대 현상이 벌어진다. 

※ 관련기사

  ☞ '중국 지급준비율 4월 추가 인상할 듯' (2010.03.15)

  ☞ 中 지급준비율 인상이 세계 시장에 미치는 영향 (2010.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