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채권발행사가 부도 등으로 어려움을 겪을 경우 손실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보전받을 수 있도록 한 보험 성격의 신용파생상품. 신용파산스왑 혹은 신용부도스와프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A은행이 B기업에 돈을 빌려줄 때 A은행은 B기업이 부도날 위험에 대비해 C금융업체에 연간 수수료를 지불하고 CDS 거래를 체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C금융업체는 수수료 수익을 챙기게 되며 B기업이 부도를 맞게 될 경우에는 B기업이 빌린 돈을 C금융업체에서 A은행에 갚아야 한다.
CDS 거래에서 신용위험을 이전한 대가로 지급하는 수수료를 CDS 프리미엄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CDS 프리미엄은 기초자산의 신용위험이 커질수록 상승한다. 즉 기초자산의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높아질수록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것으로, 기초자산 발행주체의 신용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해석할 수 있다. 국제금융시장에서는 각국의 정부가 발행한 외화표시 채권에 대한 CDS 프리미엄을 해당 국가의 신용등급이 반영된 지표로 활용하고 있다.
※ 관련기사 |
'블루마블 문헌보관소 > 시사경제용어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사경제용어> 페이퍼 배터리 (0) | 2010.02.25 |
---|---|
<시사경제용어> 레버리지 매수(leveraged buyout, LBO) (1) | 2010.02.25 |
<시사경제용어>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지수 (0) | 2010.02.25 |
<시사경제용어> 낸드 플래시 메모리 (0) | 2010.02.25 |
<시사경제용어> ISM지수(ISM Index) (0) | 2010.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