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루마블 문헌보관소/시사경제용어 사전

<시사경제용어> 크레디트디폴트스와프(CDS)

 

채권발행사가 부도 등으로 어려움을 겪을 경우 손실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보전받을 수 있도록 한 보험 성격의 신용파생상품. 신용파산스왑 혹은 신용부도스와프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A은행이 B기업에 돈을 빌려줄 때 A은행은 B기업이 부도날 위험에 대비해 C금융업체에 연간 수수료를 지불하고 CDS 거래를 체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C금융업체는 수수료 수익을 챙기게 되며 B기업이 부도를 맞게 될 경우에는 B기업이 빌린 돈을 C금융업체에서 A은행에 갚아야 한다.

CDS 거래에서 신용위험을 이전한 대가로 지급하는 수수료를 CDS 프리미엄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CDS 프리미엄은 기초자산의 신용위험이 커질수록 상승한다. 즉 기초자산의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높아질수록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것으로, 기초자산 발행주체의 신용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해석할 수 있다. 국제금융시장에서는 각국의 정부가 발행한 외화표시 채권에 대한 CDS 프리미엄을 해당 국가의 신용등급이 반영된 지표로 활용하고 있다.

※ 관련기사

  ☞ 그리스, CDS 하락세 둔화…기대보다 우려 큰 'EU 지원' (2010.02.11)

  ☞ 한국 대외신용도 ‘高ㆍ高’…CDS 또 연중 최저치 (2010.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