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화자금의 수급조절을 위해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 자국통화의 대외가치 안정과 투기적 외화의 유출·유입에 따른 악영향을 막기 위해 정부가 조성한 자금이 외국환평형기금이고 이 기금의 재원조달을 위해 정부가 지급보증형식으로 발행하는 채권을 외국환평형기금채권, 줄여서 ‘외평채’라고 한다.
원화와 외화표시 두 가지로 발행할 수 있다. 그 동안 원화표시로만 발행됐지만 IMF 구제금융지원 이후 부족한 외환 조달을 위해 외화표시 증권을 발행했다. 해외시장에서 발행할 경우 기준금리에 발행국가의 신용도와 유통물량을 고려해 가산금리가 붙는다.
우리 정부는 4월 9일 30억 달러 상당의 외국환평형기금채권 발행에 성공했다. 정부가 외평채를 발행한 것은 2006년 11월의 10억 달러 이후 2년 반 만이며 5년물을 발행한 것은 1998년 이후 처음이다. 이번에 발행에 성공한 외평채는 5년 만기 달러표시 채권 15억달러와 10년만기 달러표시 채권 15억달러 등 2종류로 구성됐다.
가산금리는 각각 미 국채 금리 대비 400bp(1bp=0.01%포인트)와 437.5bp 수준으로 이는 한국보다 신용등급이 2~3단계 높은 아부다비 정부 채권과 동일한 수준이다.
※ 관련기사
|
'블루마블 문헌보관소 > 시사경제용어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사경제용어> 유동외채비율 (0) | 2009.06.18 |
---|---|
<시사경제용어> 유동성 함정(liquidity trap) (0) | 2009.06.18 |
<시사경제용어>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 (0) | 2009.06.18 |
<시사경제용어>사전 채무조정 제도(Pre-Workout) (0) | 2009.06.18 |
<시사경제용어> 패스트트랙(Fast Track) (0) | 2009.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