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루마블 경제이야기/블루칩 경제정책 이야기

대졸사원 재교육비용, 2조 4천억?


지난해 우리나라의 대학진학률은 83.8%로 세계 최고 수준인 반면,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의 연차보고서에 나타난 대학교육의 질적 수준은 조사대상 55개국 중 53위로 최하위를 차지했다. 특히 산업계 수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대학교육은 대졸 신입사원에 대한 기업의 불만족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신규 채용 시 재교육 기간 및 비용측면에서도 비효율을 유발한다.

경총이 100인 이상 기업 483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4년제 대졸 신입사원이 입사 후 실무에 투입되는 데 평균 19.5개월이 걸린다. 이에 따른 1인당 재교육비용(필자 주 : 순수 교육비용과 임금총액, 4대 보험 기업부담분 등을 포함한 총비용)은 6천88만4천 원에 이른다. 이는 사립대에 다니는 학생이 4년 동안 내는 등록금 액수의 두 배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이 조사 결과를 100인 이상 기업 전체로 확대 적용하면 우리사회 전체의 대졸 신입사원 재교육비용은 2조3천49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런 상황에서 기업들은 경력직을 선호하는 방향으로 채용패턴을 변화시키고 있다.

사회 및 기업 현장과 괴리된 대학교육은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이해가 부족한 상태로 학생들을 사회에 배출하고 있다. 실제 영어회화 능력과는 무관한 높은 토익점수나 문장력이 떨어지는 글쓰기 등 실무능력이 떨어지는 ‘부실 신입사원’을 양산하는 대학교육은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대학이 스스로 산업계의 수요를 반영할 수 있도록 대학의 자율권을 확대해 대학 간 경쟁체제를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경쟁체제 아래서는 대학의 책임경영체제가 정착되고 자율적 구조조정이 이뤄질 것이다. 인구구조 변화에 따라 경쟁에서 도태된 대학들은 원활한 퇴출이 이뤄질 수 있는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 적극적인 대외개방을 통해 외국의 교육기관과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시급히 요구된다.

또한 기업이 바라는 인재상이 무엇인가에 대해 충분히 고찰하고 이를 교과과정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등 건실한 기초교육과 함께 실사구시의 실전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특히 대학의 몸집불리기 수단으로 이용돼온 백화점식 학과운영을 지양하고 산업현장에 적합한 학과운영이 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조정이 필요하다. 대학교육의 공급자인 교수들도 변화해야 한다. 자신의 전공에만 매몰된 폐쇄적 시스템에서 벗어나 산업현장이 요구하는 다양한 실무교육을 늘려가야 할 것이다.

산ㆍ학 연계 강화를 통한 기업의 맞춤식 교육은 노동시장에서 원하는 인력을 배출할 후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이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대학 평가 시 산학협동 항목에 대한 가산점 부여, 해당 기업에 대한 금융ㆍ세제상의 지원 강화 등이 필요할 것이다.

앨빈 토플러는 “21세기는 지식이 곧 권력이고, 교육혁신이 미래의 모든 것을 좌우한다”고 했다. 산업계 요구에 부응하는 인재양성과 기술개발 등 현장적합성을 강화하려는 대학의 교육혁신은 대학과 기업이 함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길이다. 




 

이 정보가 유익하셨다면 <몬이의 블루마블>을 구독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