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루마블 문헌보관소/시사경제용어 사전

<시사경제용어> 화폐착각



화폐의 실질적 가치의 증감에 대해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 화폐의 실질적 가치는 물가수준이 상승하면 떨어지고 물가수준이 하락하면 올라간다. 이처럼 물가수준의 변화는 화폐의 실질적 가치에 영향을 주게 되지만 이를 고려하지 않고 물리적인 화폐의 양으로만 가치를 매기는 것을 화폐착각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인플레이션 때문에 실질임금은 떨어졌어도 임금이 그대로 유지되면 노동자는 별로 저항하지 않는다. 또 물가가 5% 오를 때 임금이 2% 오르는 상황에 비해 물가가 2% 오를 때 임금이 그대로인 상황이 더 이득이지만 대부분은 화폐착각으로 물리적으로 손에 들어오는 돈이 더 많아지는 전자쪽을 선호하게 된다. 

※ 관련기사

  ☞ 공짜폰·무가지, 공짜 아니거든요(10.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