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경제용어>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
양적완화 정책은 금리 인하를 통한 경기부양 효과가 한계에 봉착했을 때 중앙은행이 국채매입 등을 통해 유동성을 시중에 직접 푸는 정책을 말한다.
중앙은행은 정책금리 인하를 통해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경기 활성화를 돕지만, 금리 인하 여지가 더 이상 없는 수준까지 이르러서도 시중의 자금경색 현상이 완화되지 못할 경우 통화량 자체를 늘리는 양적완화 정책을 펼친다. 따라서 양적 완화 정책은 ‘제로금리 + 통화량 공급 확대’로 요약할 수 있다. 2008년 12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정책금리를 0~0.25%로 0% 수준까지 인하하면서 양적완화정책을 시행했으며 영국중앙은행도 2009년 3월초 정책금리를 0.5%로 인하함과 동시에 양적완화정책의 도입했다. 유럽중앙은행, 일본은행 등도 2008년 9∼10월 경부터 사실상 양적완화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그래프 출처 : 서울경제 09.06.05)
그러나 은행에 대출 확대 능력이 생겼어도 경기침체 장기화로 가계 및 기업의 재무구조가 악화돼 추가 부실 우려가 증폭되는 상황에서 은행이 리스크 회피 목적으로 대출을 하지 않는다면 양적완화의 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없다. 또 중앙은행이 시장의 큰 손으로 등장하게 되면서 단기적으로는 채권시장 왜곡이라는 폐해가 일어날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이 우려되기도 한다. 경제회복에 따른 자연스러운 인플레이션과는 달리 양적완화 정책으로 경제가 회복되기도 전에 물가가 급등하면 또 다른 위기를 맞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이밖에 중앙은행의 위험자산 보유 증가로 자산 건전성이 훼손될 경우 통화정책의 중립과 신뢰성이 약화될 수 있다는 부작용도 우려된다.
※ 관련기사
|